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풀이
- commands 배열의 사이즈 (3) 만큼 순회하면서 commands[i] 배열의 0번과 1번 인덱스 값으로 slice 처리를 해준다.
- slice한 tempArray를 오름차순 정렬 sorted() 처리하여 commands[i] 배열의 2번 인덱스 값에 해당하는 tempArray의 값을 구한다.
- resultArray에 추가해주면 정답
fun findK(array: IntArray, commands: Array<IntArray>): IntArray {
val res = IntArray(commands.size)
for (i in res.indices) {
var tempArr = array.slice(commands[i][0] - 1 until commands[i][1])
tempArr = tempArr.sorted()
res[i] = tempArr[commands[i][2] - 1]
}
return res
}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풀이
- commands 배열의 사이즈 (3) 만큼 순회하면서 commands[i] 배열의 0번과 1번 인덱스 값으로 slice 처리를 해준다.
- slice한 tempArray를 오름차순 정렬 sorted() 처리하여 commands[i] 배열의 2번 인덱스 값에 해당하는 tempArray의 값을 구한다.
- resultArray에 추가해주면 정답
fun findK(array: IntArray, commands: Array<IntArray>): IntArray {
val res = IntArray(commands.size)
for (i in res.indices) {
var tempArr = array.slice(commands[i][0] - 1 until commands[i][1])
tempArr = tempArr.sorted()
res[i] = tempArr[commands[i][2] - 1]
}
return r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