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수점 반올림 처리 표시에 사용되는 DecimalFormat
import java.text.DecimalFormat
import java.math.RoundingMode
fun main() {
val a = 13
val b = 0.165
val decimalFormat = DecimalFormat("0.000000") //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 부족한 부분은 0으로 채움
decimalFormat.roundingMode = RoundingMode.DOWN
val res = decimalFormat.format(a * b)
println("FormatDouble -> $res") // 출력: "FormatDouble -> 2.145000"
}
(#는 해당 위치에 숫자가 없으면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지만, 0은 해당 위치에 숫자가 없어도 0을 표시합니다.)
여기서 roundingMode는 숫자을 반올림할 때 규칙을 정의합니다.
UP: 0이 아닌 소수점 아래 값이 존재할 때 항상 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1.1은 2가 되고, -1.1은 -2가 됩니다.
DOWN: 소수점 아래 값을 무시하고 항상 내림합니다. 예를 들어, 1.9는 1이 되고, -1.9는 -1이 됩니다.
CEILING: 양수인 경우 올림하고, 음수인 경우 내림합니다. 예를 들어, 1.1은 2가 되고, -1.1은 -1이 됩니다.
FLOOR: 양수인 경우 내림하고, 음수인 경우 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1.9는 1이 되고, -1.9는 -2가 됩니다.
HALF_UP: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되,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경우 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1.5는 2가 되고, -1.5는 -2가 됩니다.
HALF_DOWN: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되,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경우 내림합니다. 예를 들어, 1.5는 1이 되고, -1.5는 -1이 됩니다.
HALF_EVEN: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되,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경우 짝수 방향으로 반올림합니다(은행가 반올림). 이 방법은 평균적으로 오차를 줄일 수 있어 통계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1.5는 2가 되고, 2.5는 2가 됩니다.
UNNECESSARY: 반올림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반올림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 모드를 사용하면 ArithmeticException이 발생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소수점 반올림 처리 표시에 사용되는 DecimalFormat
import java.text.DecimalFormat
import java.math.RoundingMode
fun main() {
val a = 13
val b = 0.165
val decimalFormat = DecimalFormat("0.000000") //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 부족한 부분은 0으로 채움
decimalFormat.roundingMode = RoundingMode.DOWN
val res = decimalFormat.format(a * b)
println("FormatDouble -> $res") // 출력: "FormatDouble -> 2.145000"
}
(#는 해당 위치에 숫자가 없으면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지만, 0은 해당 위치에 숫자가 없어도 0을 표시합니다.)
여기서 roundingMode는 숫자을 반올림할 때 규칙을 정의합니다.
UP: 0이 아닌 소수점 아래 값이 존재할 때 항상 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1.1은 2가 되고, -1.1은 -2가 됩니다.
DOWN: 소수점 아래 값을 무시하고 항상 내림합니다. 예를 들어, 1.9는 1이 되고, -1.9는 -1이 됩니다.
CEILING: 양수인 경우 올림하고, 음수인 경우 내림합니다. 예를 들어, 1.1은 2가 되고, -1.1은 -1이 됩니다.
FLOOR: 양수인 경우 내림하고, 음수인 경우 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1.9는 1이 되고, -1.9는 -2가 됩니다.
HALF_UP: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되,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경우 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1.5는 2가 되고, -1.5는 -2가 됩니다.
HALF_DOWN: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되,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경우 내림합니다. 예를 들어, 1.5는 1이 되고, -1.5는 -1이 됩니다.
HALF_EVEN: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되,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경우 짝수 방향으로 반올림합니다(은행가 반올림). 이 방법은 평균적으로 오차를 줄일 수 있어 통계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1.5는 2가 되고, 2.5는 2가 됩니다.
UNNECESSARY: 반올림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반올림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 모드를 사용하면 ArithmeticException이 발생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