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0431
초등학교 선생님 강산이는 아이들을 데리고 단체로 어떤 일을 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새로 반에 배정받은 아이들에게 키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다.
번호를 부여할 땐 키가 가장 작은 아이가 1번, 그다음이 2번,... , 가장 큰 아이가 20번이 된다. 강산이네 반 아이들은 항상 20명이며, 다행히도 같은 키를 가진 학생은 한 명도 없어서 시간이 조금 지나면 아이들은 자기들의 번호를 인지하고 한 줄로 세우면 제대로 된 위치에 잘 서게 된다.
하지만 매년 첫 며칠간 강산이와 강산이네 반 아이들은 자기가 키 순으로 몇 번째인지 잘 알지 못해 아주 혼란스럽다. 자기 위치를 찾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강산이는 특별한 방법을 생각해 냈다.
우선 아무나 한 명을 뽑아 줄의 맨 앞에 세운다. 그리고 그다음부터는 학생이 한 명씩 줄의 맨 뒤에 서면서 다음 과정을 거친다.
자기 앞에 자기보다 키가 큰 학생이 없다면 그냥 그 자리에 서고 차례가 끝난다. 자기 앞에 자기보다 키가 큰 학생이 한 명 이상 있다면 그중 가장 앞에 있는 학생(A)의 바로 앞에 선다. 이때, A부터 그 뒤의 모든 학생들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한 발씩 뒤로 물러서게 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 오름차순으로 줄을 설 수가 있다.
아이들의 키가 주어지고, 어떤 순서로 아이들이 줄 서기를 할지 주어진다. 위의 방법을 마지막 학생까지 시행하여 줄 서기가 끝났을 때 학생들이 총 몇 번 뒤로 물러서게 될까?
정렬을 따로 한다는 생각보다는 초기 배열을 for문 돌면서 현재 포커스 된 숫자 앞에 있는 목록 중 더 큰 숫자가 있다면 그 횟수만큼 축적하면 됩니다.
fun main() {
val scanner = Scanner(System.`in`)
val p = scanner.nextInt()
val res = mutableMapOf<Int, Int>()
repeat(p) {
val t = scanner.nextInt()
val arr = mutableListOf<Int>()
repeat(20) {
arr.add(scanner.nextInt())
}
var cnt = 0
for (i in 0 until 20) {
val slice = arr.slice(0 until i)
cnt += slice.count { it > arr[i] }
}
res[t] = cnt
}
res.forEach { (t, u) ->
println("$t $u")
}
}
slice를 통해 앞부분을 잘라내고 더 큰 수가 있는지 계산해 주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