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ilt를 기반으로 Network Module을 만들고, Retrofit provide 함수를 생성했을 때, 다음과 같이 baseUrl을 고정해 놓았었다.@Singleton@Providesfun provideRetrofit( okHttpClient: OkHttpClient): Retrofit { return Retrofit.Builder() .client(okHttpClient) .baseUrl(ServerStatus.API_URL_PRFIX) .addConverterFactory(GsonConverterFactory.create()) .build()} - 하지만 가끔 다른 Base URL을 요구하는 api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Development/Android
- 이전에 Image 컴포저블을 활용하여 중첩된 원형 프로필 이미지를 구현했었다. - 하지만 프로필 이미지가 기본 drawable이 아니고, File이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 이 경우에 Coil의 AsyncImage를 활용하여 보여주도록 처리했다.//A composable that executes an ImageRequest asynchronously and renders the result.@Composablefun AsyncImage( model: Any?, contentDescription: String?, modifier: Modifier = Modifier, transform: (State) -> State = DefaultTransform, ..

- 이미지를 중첩시키고 싶다면 Box 컴포저블을 사용하면 된다. Z 축으로 쌓이는 컨테이너 구조이다. - Image 말고 다른 컴포저블들도 중첩된다.@Composablefun Avatar(~~) { Box( modifier = Modifier.wrapContentSize() ) { Image(~~~) Image( painter = painterResource(id = R.drawable.abc), contentDescription = "Profile", modifier = Modifier .size(size.dp) .padding(3.5.dp) ..

- 기존 내 서비스에서 구성되어 있던 API 호출 구조는 매번 Api Task Class를 만들어 Base를 통해 Retrofit 객체를 생성하고 호출하는 과정이었다.- 각종 초기화 및 고정 Header 값 추가 등의 코드가 난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가독성 및 관리에 좋지 않았다. - 의존성 자동 주입을 위해 Hilt와 이참에 MVVM 패턴까지 적용해 봤다.Network Module- 일단 기존에는 Api Task Class 내부에 매번 API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생성했는데, 전반적인 모든 API func을 담을 ApiService를 구성했다.interface ApiService { @GET("api/test") suspend fun getTest( @Query("zoneId") z..
- Hilt 기반으로 Network Module을 구성했는데, 갑자기 제목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 다음 함수가 문제였다.@Provides@Singletonfun provideApiService(retrofit: Retrofit, service: Class): T = retrofit.create(service)- Hilt는 DI 그래프를 컴파일 타임에 생성하기 때문에, 어떤 타입을 주입할지 명확히알아야 한다.그런데 위처럼 로 제네릭을 쓰면 어떤 타입인지 컴파일 시점에 알 수 없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 것. - 아래처럼 Api 호출 관련 함수가 하나로 정리된 Interface를 지정해 주면 된다.@Provides@Singletonfun provideApiService(retrofit: Retro..

- 위와 같은 형태의 동적 가이드를 Compose 기반으로 구현했다. -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JSON 파일의 경우, 디자이너분으로부터 제공받은 점 참고. - JSON 파일의 경우 res - raw 폴더를 생성하여 넣어주면 된다. (압축하지 않고, 변형 없이 앱에 들어가야 하는 파일들) - 영상을 보면, JSON 애니메이션이 바로 나타나는게 아니라 서서히 페이드인 되면서 나타난다. - 이를 위해 Compose의 AnimatedVisibility를 활용한다.AnimatedVisibility( visible = showGuide, enter = fadeIn(animationSpec = tween(1500)), exit = ExitTransition.None) { ...- 뷰의 가시성을 조정할..
- Ripple은 Android 5.0 (21) 머터리얼 디자인에 소개되었으며,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 물결이 퍼지듯이 효과가 나오는 기능이다.- Compose에서도 지원하고 있다. Modifier를 기반으로 적용 가능하다.@Composablepublic fun rememberRipple( bounded: Boolean = true, radius: Dp = Dp.Unspecified, color: Color = Color.Unspecified): Indication { val colorState = rememberUpdatedState(color) return remember(bounded, radius) { PlatformRipple(bounded, radius,..

- FAB란 앱의 주요 인터페이스 위에 둥둥 떠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서 앱의 기본 대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다. - 보통 화면 오른쪽 하단에 둥근 사각형, 타원, 원으로 많이 표시된다.- 디자인 시스템 및 커스터마이징에 적합하도록 Compose 기반 직접 해당 버튼을 구현했다. - 먼저 상위 컴포저블로 Surface를 사용해준다.Surface( modifier = Modifier .size(52.dp) .clip(CircleShape) .clickable( interactionSource = interactionSource, indication = rememberRipple( ..
https://seyoungcho2.github.io/CoroutinesKoreanTranslation/undefined-1.html 일시중단 함수 구성하기 · GitBook이 섹션은 일시 중단 함수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다룬다. 일종의 원격 서비스 호출이나 계산 같은 두 유용한 일시 중단 함수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정의되어 있다고 가정해보자.seyoungcho2.github.io- 위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기본적인 순차 처리- 아래와 같은 코드를 실행하면 기본 순차적 실행으로 인해 42가 반환된다.suspend fun doSomethingUsefulOne(): Int { delay(1000L) // 여기서 유용한 작업을 실행한다고 가정한다. return 13}suspen..
Coroutine 실행 취소- launch를 통해 반환되는 job의 cancel로 코루틴의 실행을 취소할 수 있다.fun main() = runBlocking { val job = launch { repeat(1000) { i -> println("job: I'm sleeping $i ...") delay(500L) } } delay(1300L) // 약간의 시간 동안 delay 한다. println("main: I'm tired of waiting!") job.cancel() // Job을 cancel한다. job.join() // Job의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다. println("ma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