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pi 통신 중, Error Status로 반환되는 경우에는 Result Body를 일반적인 response body로 가져올 수 없다. resonse의 errorBody()를 활용해야 Error Result Body를 가져올 수 있다. { "code": "INVALID_AUTH_TOKEN", "message": "invalid token" } 먼저 다음과 같은 data class를 준비한다. data class NormalErrorResponse( val code: String?, val message: String? ) 제네릭을 활용하여 Error Response를 data class로 변환해 주는 함수를 구현했다. inline을 통해 해당 성능 손실을 줄이고, 를 통해 런타임 시에도 타입 정보를 유..
(왜 맨날 까먹는지..;;) Retrofit에서 통상 @DELETE 시에는 @Body는 사용하지 않아, 일반적인 @DELETE 처리가 불가능하다... interface DeleteConnectionApi { @HTTP(method = "DELETE", path = "api/mem/externalConnection", hasBody = true) fun deleteConnection( @HeaderMap headers : HashMap, @Body connectionId : DeleteConnectionId ) : Call } 위처럼 @HTTP를 활용하여 hasBody = true 처리 후, 구성해 주면 문제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안드로이드에서 발생하는 Exception들은 기본적으로 Throwable을 상속받고 있다. public open class Throwable(open val message: String?, open val cause: Throwable?) { constructor(message: String?) : this(message, null) constructor(cause: Throwable?) : this(cause?.toString(), cause) constructor() : this(null, null) } 인자로 메시지와 cause Throwable을 받는다. 이를 활용해 Custom Exception을 활용할 수 있다. 보통 Exception이 발생하는 경우, FireBase Crashlytics 등..
api 통신에 대한 에러 발생 시, 해당 통신에 대한 Reqeust Body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값을 보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Body 또는 @Field 형식으로 보내는 경우에 대해 OkHttpClient에서 값을 추출하는 로직을 구성해 봤다. private fun extractBodyStringFromRequest(request: Request): String { return if (request.body is FormBody) { //Field type val field = mutableMapOf() val formBody = request.body as FormBody for (i in 0 until formBody.size) { field[formBody.name(i)] = form..
달력형 위젯을 구현 중, Background ImageView에 디자이너분이 제작해 주신 테마 이미지를 Bitmap으로 삽입하던 중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RemoteViews for widget update exceeds maximum bitmap memory usage (used: 7474416, max: 6432000) 무슨 오류인가.. 확인해 보니 Bitmap 메모리 사용량이 한도를 초과한 것이다. 이미지 크기와 해상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위젯에 최적화된 이미지를 다시 제작하기 전까지는 임시로 크기를 줄여서라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fun getBitmapSize(file: File): Siz..
Moshi - API 통신 시, JSON과 객체 사이의 직렬화 및 역직렬화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 - 내부 동작에서 Reflection 사용 Reflection : 자바의 기능 중 하나로, 클래스나 인터페이스의 정보에 직접 접근 가능케 하는 API을 일컫는다. 직렬화 : 특정 데이터를 다른 CPU로 보내기 전 통신이 가능하면서도 나중에 재구성이 가능한 포맷으로 환해주는 행위 역직렬화 : 직렬화된 데이터를 다시 객체 형태로 변환하는 행위 JSON 처리 @JsonClass Annotation : JSON Object에 대응되는 역할을 한다. 해당 Annotation은 JSON Object에 대응되는 클래스 생성 시 상단에 붙인다. 파라미터로 들어가는 generateAdapter를 true로 S..
Sealed Class?- 봉인 클래스는 추상 클래스와 비슷하게 상속 과정을 통해 완성 가능한 클래스를 정의함과 동시에 해당 클래스를 상속받는 클래스의 개수를 제한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미리 만들어놓은 자료형들을 묶어서 제공하는 방식이다. Sealed Class 정의- sealed 키워드 활용sealed class Parent { abstract fun abstractMethod()}sealed class Result { open class Success(val message: String): Result() class Error(val code: Int, val message: String): Result()}- Parent 클래스를 상속받는 클래스를 정의한다.- Se..
Enum Class - 특정 상태를 지정하는 상수들을 클래스 내부에 고유 값으로 만들어 사용 - 소스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 상수 값의 타입 안전성을 보장한다. enum class EnumTest { Naver, Google, Yahoo, Daum } fun getPortalType(s : String) { when (s) { "naver" -> EnumTest.Naver "google" -> EnumTest.Google "yahoo" -> EnumTest.Yahoo else -> EnumTest.Daum } } - 각 열거 자료형은 enum 클래스의 인스턴스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초기화가 가능하다. enum class Color(val rgb: Int, val colorName: Str..
Singleton Pattern - 어떤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오직 하나임을 보장하며, 해당 인스턴스를 전역적으로 접근 가능케하는 패턴 - 고정된 메모리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의 효율성 증가 - object 키워드를 통해 간단하게 패턴 생성 가능 Java의 Static 활용 시에는 호출 시점에 인스턴스가 생성되지만, Kotlin의 Object는 프로세스가 메모리 상에 올라가는 순간 바로 생성된다. 이는 즉, 굳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메모리에 인스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Object - 클래스 외부에서 선언되며 별도의 객체 생성 없이 즉시 호출이 가능하다. - 하나의 객체만 접근 시점에 생성되므로 생성자가 없는 클래스만 사용 가능 - 특정 초기화를 위해서는 in..
안드로이드에서 외부 URL을 열 때, 보통 WebView를 많이 사용하지만 그보다 속도가 빠르고, 탭에 대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Chrome Custom Tab이라는 기능이 있다. 먼저 해당 디바이스에서 pakageManager를 통해 크롬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가능한 경우 Service 사용 단계로 넘어가도록 처리해주었다. fun isChromeEnabled(context: Context): Boolean = context.packageManager.getPackageInfo("com.android.chrome", 0).applicationInfo.enabled openChromeWebService() 라는 함수를 새로 만들어, 해당 함수 내에서 실질적인 Chrome Tab View 작업을 진..
SeungYong.Lee
'Development' 카테고리의 글 목록 (17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