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ilt를 기반으로 Network Module을 만들고, Retrofit provide 함수를 생성했을 때, 다음과 같이 baseUrl을 고정해 놓았었다.@Singleton@Providesfun provideRetrofit( okHttpClient: OkHttpClient): Retrofit { return Retrofit.Builder() .client(okHttpClient) .baseUrl(ServerStatus.API_URL_PRFIX) .addConverterFactory(GsonConverterFactory.create()) .build()} - 하지만 가끔 다른 Base URL을 요구하는 api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DAGGER
- 의존성 주입이라는 개념이 있다. 객체가 필요한 의존 객체를 외부에서 주입받아 사용하는 설계를 말한다. - 보통 일반적으로 수동적 의존성 주입 처리가 진행된다. 하지만 지연 초기화, nullable 처리, 코드 중복량 증가에 대한 문제점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드러난다. - 이런 문제점들을 줄이기 위해 DI를 컴파일 시점에서 처리해 런타임 성능을 최적화하고, 어노테이션으로 객체 간 의존 관계를 관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Hilt가 있다.https://developer.android.com/training/dependency-injection/hilt-android?hl=ko Hilt를 사용한 종속 항목 삽입 | App architecture | Android Developers이 페이지는 Cloud..